티스토리 뷰

일반정보

2017년 인상된 초등교사월급

스스쿠잔 2017. 3. 4. 20:56

 매년 우리나라 물가는 끝없이 치솟아 오르고 계란값이 두배로 뛰어서 벌벌 떨리는 이 시점에서도 공무원들의 월급은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올해도 어김없이 2017년 1월 6일에 공무원봉급표 인상이 결정되어 발표되었지요.

 

 그래서 오늘은 개정되어 발표된 교육공무원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들의 봉급표를 보여드리고 어떻게 지급되는지 그 방식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일반 직장인들은 매달 받는 금액을 월급이라 하는데 공무원들은 봉급이라는 표현을 쓰지요. 이건 사극에서 보면 '봉록을 받는자가 어찌 나라를 게을리 살필수 있는가' 라는 대사처럼 나라의 세금을 받고 일하는 사람들의 급여를 봉록에서 봉급으로 바뀐듯 보입니다.

▦호봉에 따른 급여

 군대에 다녀오신분들은 아시겠지만 공무원들도 회사원들처럼 직급과 직책이라는것으로 나뉘어진다는것을 알고 계실겁니다. 직급은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이런식으로 시간과 실적을 쌓으면서 얻어지는 계급이고, 직책이란 전략홍보부장, 영업3팀장 처럼 어떤 특화된 일을 전적으로 맡아서 하는것을 직책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교육공무원들도 그런 직급과 직책이 있는데, 직급은 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호봉이라는 표현으로 사용될수 있습니다. 유치원부터 고등교사까지 모두 1~40 등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임용이 된뒤 40년동안 꾸준히 교육계에 몸담고 있다면 40호봉까지는 저절로 갈수 있는 페이스입니다. 물론 그전에 정년퇴임을 한다면 힘들겠지만 말이지요. 단 교사는 8호봉부터 시작합니다.

 

 직책은 각 학교 교과별 장이 있습니다. 그리고 학생주임님 같은 우리에게 친숙한 역할을 맡는 교사님들도 계시구요. 이분들은 따로 호봉에 따른 봉급을 제외하고 직책수당을 받게 됩니다. 공무원들은 정해진 업무 외의 일은 전부 기타 수당으로 받기 때문에 위의 봉급표는 최소한의 금액이 되는것이지요.

 

▦교육공무원연금

 교육공무원들은 일반 회사원들처럼 퇴직금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단 비슷한 느낌으로 연금제도를 운영하는데 20년동안 근무를 한 사람들이 자신이 총 교육계에 몸담은 날짜와 호봉수를 산정하여 연금을 받거나 일시금으로 받게 됩니다. 만약 20년을 채우지 못한 분들은 연금은 받지 못하는대신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게 됩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